로고

정읍지황융복합사업단
로그인 회원가입
  • 고객센터
  • 공지사항
  • 고객센터

    공지사항

    KISA(한국인터넷진흥원) 사칭 가상자산 피해환급 피싱 주의 권고

    페이지 정보

    profile_image
    작성자 정읍지황융복합사업단
    댓글 0건 조회 169회 작성일 25-04-15 13:04

    본문

    □ 개요

    최근, KISA(한국인터넷진흥원)을 사칭한 금전 탈취 사례가 탐지됨에 따라 기관 사칭으로 인한

        개인정보 등 민감정보 탈취 및 금전 피해로 연계되지 않도록 사용자 주의 필요

    ※ KISA를 사칭하여 가상자산 사기피해에 대한 환급을 명목으로 개인정보금전 등 요구

    □ 주요내용

    o KISA 직원을 통해 가상자산 피해액 환급이 가능하다고 접근

    가상자산 추척 솔루션 관련 KISA 보도자료*를 증거로 제시하며 신뢰 형성

    * KISA, 범죄악용 가상자산 추적 솔루션 개발...가상자산 활용 범죄꼼짝마’(블록미디어,’20.04.03.)

    환급액을 받았다는 가짜 계좌인증 캡쳐를 제시하는 등 경계심을 낮추는 전략 사용

    환급을 위해 별도의 가상자산 지갑이 필요하다며개설 명목의 수수료 100만원 요구

    피해구제 절차 명목으로 KISA 요원(사칭)이 신분증/여권/운전면허증 등 민감정보 요구

    □ 대응방안

    o (카카오톡채팅방 상단의 신고’ 버튼을 선택 → 메시지 신고화면에서 신고하려는 메시지를 선택   →

       하단의 신고하기’ 버튼을 선택 → 신고하기 화면에서 신고 사유 선택 → 접수하기 버튼 선택 → 신고

       접수 후 채팅방 나가기

    스미싱 문자 신고 및 확인 방법

      - 스마트폰 내 문자 수신 화면에서 확인가능한 스팸으로 신고

      - 보이스피싱통합신고대응센터 내 스미싱 문자메세지 차단 신고하기

      - 보호나라(카카오톡 채널내 스미싱 확인서비스를 이용하여 신고 및 악성여부 판별

    스미싱 문자 예방 방법

      - 문자 수신 시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을 자제하고 바로 삭제

      - 의심되는 사이트 주소의 경우 정상 사이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피해 예방

      - 휴대폰번호아이디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는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번호의 경우 모바일

       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 번 더 확인

    정부기관 및 금융회사인 경우전화나 문자 등을 통해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음

    정상스토어에 등록된 앱인 경우도 포함

    번호 도용 문자 발송 차단

      -악성앱 감염 및 피싱 사이트를 통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스미싱 문자 재발송을 위해 피해자

       번호가 도용될 수 있으므로 번호도용문자차단서비스*”를 신청하여 번호 도용 차단

    이동통신사별 부가서비스 항목에서 무료로 신청 가능

    모바일 결제 확인 및 취소

    스미싱 악성앱 감염 및 피싱사이트 개인 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

       결제 내역 확인

      ① 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하여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

      ② 모바일 결제 피해가 확인되면 피해가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 캡처

      ③ 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스미싱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 발급

      ④ 소액결제확인서를 지참하여 관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 또는 민원실을 방문하여 사고 내역 신고

      ⑤ 사고 내역을 확인받고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발급

      ⑥ 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등 필요서류를 지참하여 통신사 고객센터 방문 또는 팩스나 전자우편 발송

      ⑦ 통신사나 결제대행 업체에 사실 및 피해 내역 확인 후 피해보상 요구

    악성어플리케이션 삭제

      - 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한 것만으로는 악성 앱에 감염되지 않으나 인터넷주소를

       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폰 점검

      ① 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 삭제하기

      ② 악성앱 수동 삭제하기

      ③ 서비스센터 방문

   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하기

      - 악성 앱에 감염되었던 스마트폰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공인인증서보안카드 등 금융거래에

        필요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폐기하고 재발급

    o 2차 피해 예방하기

      - 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앱이 주소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을 발송하는 등

        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 지인에게 스미싱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함

    □ 기타 문의 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(국번없이 118)

     

    ※ 출처 한국인터넷진흥원, 2025년 4월 14https://www.boho.or.kr

    댓글목록
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